Humming, 2023(video), single channel video. 10’5”, black light, highlighter pen (drawing).








Three Bodies of Cerberus, 2025 installation view 












Neither Lion, Dog, nor Human, 2022(video), 2025 installation, single channel video 7'8" thread, steel, clay, speaker, deimension variable









I(A)MPATIEN(T/S) + Alive, 2023~/2024, teracotta, LED lights, Impatiens balsams, single channel video
















TEXT 

유경혜(오픈스페이스 배 큐레이터)

박현진 개인전 《사자도 개도 사람도 아닌 것》은 동물과 사람의 대명사를 '아닌'으로 밀어내며, 기존의 분류와 명명을 멈추고, 개념과 조형으로 규정될 수 없는 상태와 형태를 찾아간다. '아닌'은 존재를 규정하기보다 흘려보냄으로써 무엇인가로 넘어가는 다른 가능성을 여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세계는 본래 복잡하게 흘러가기 마련이고, 동시에 이를 어떻게든 규정하려는 힘이 작동한다. 만약 우리가 마주한 세계와 상태가 이 두 극단에만 머무른다면, 작가는 그 어디에도 발을 붙이지 않는다. 그는 주어진 것을 붙잡기보다 흘려보내며, 규정되지 않은 형상을 향해 나아간다.

전시는 조각, 영상, 설치를 통해 삶과 죽음, 전통과 세대, 돌봄의 시간이 교차하는 순간에 드러나는 변이적 형상을 보여준다. 이 작업들은 부재와 지속, 변화를 매개로 다공적인 서사를 구성하며, 그 안에서 오래 지속되는 힘을 불러낸다.

전시는 동명의 퍼포먼스 영상 〈사자도 개도 사람도 아닌 것〉(2022)으로 시작한다. 한국에는 본래 사자가 서식하지 않았지만, 이 동물은 봉산탈춤 속에서 인간의 상상력과 몸짓으로 구전되어 계승되어 왔다. 영상에는 거울의 얼굴을 한 형상이 등장하고, 그것을 움직이는 두 여성의 몸짓은 북소리에 맞춰 전개된다. 이어 탈춤을 전승해온 여성들의 춤과 반려견 뽀뽀의 늙어가는 몸짓이 겹쳐지면서, 부재 속에서 이어져 온 움직임과 돌봄의 몸짓이 맞물린다. 이때 '사자, 여성, 전통'은 집합적 형상을 이루며 서로 다른 층위의 몸짓과 기억을 재배치해 현재로 이어진다.

이러한 움직임은 〈허밍(Humming)〉(2024) 영상에서 또 다른 방식으로 펼쳐진다. 모래를 쌓아 작은 언덕이 된 자리에 선 한 사람은 신발을 벗고 흙을 밟는다. 그는 영상 속에서 이렇게 말한다. "저는 노래할 준비가 되었어요. 비록 그것이 말이 아닌 웅얼거림일지라도요." 말로 꺼내지 못한 마음은 익숙한 콧노래로 바뀌고, 말보다 노래로, 노래보다 콧노래로 이어지며 언어가 닿지 못하는 것을 몸 밖으로 먼저 내보내려 한다. 작가는 언어로 환원되지 않는 경험을 통해 그리움과 망각의 시간을 불러내고, 언어를 넘어선 방식으로 경험을 나눈다.

이와 맞물려 박현진은 봉선화 1000송이를 키워내기 위해 테라코타를 빚고 그 안에 봉선화 씨를 뿌려 돌보는 〈I(A)MPATIEN(T/S)〉(2023~) 작업을 진행해왔다. 테라코타의 형상들은 죽은 동물의 신체를 닮은 모습으로 빚어졌으며, 죽음이 흙으로 돌아가 봉선화를 품게 되는 과정을 은유한다. 그리하여 그것은 사자도 개도 사람도 아닌 하나의 '무엇'으로 남아 씨앗을 가꾸기 위한 형상이 된다. 씨앗을 가꾸는 행위는 얼핏 반복적이고 사소해 보이지만, 바로 그 시간의 축적이 죽음을 넘어선 사랑의 지속성을 증명하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Three Bodies of Cerberus : 메리(Merry) 해피(Happy) 럭키(Lucky)〉(2024-2025)는 지옥문을 지키는 개 케르베로스의 형상을 불러낸다. 작가가 직접 키운 봉선화로 물들인 개의 두개골과, 변형된 신체로 구성된 몸체가 결합되어 있다. 생명체의 골격이 낯선 형태로 돌연 변모하는 순간의 기이함을 환기시키며, 그 뼈는 왁스로 덮여 일시적으로 굳어 있다. 여기에 붙여진 '메리' '해피' '럭키'라는 이름은 반려견에게 90년대 흔히 주어지던 다정한 호명이면서, 동시에 떠나간 존재를 기억하는 애도의 행위를 담고 있다.

박현진 개인전 《사자도 개도 사람도 아닌 것》에서 사자와 개, 그리고 사람의 자리를 가로지르며 남은 '것'은 끝내 규정되지 않는다. 삶과 죽음, 전통과 세대, 여성과 돌봄 시간이 포개진 자리에서 그것은 여전히 이어지고 변모하는 형상으로 남을 뿐이다. 작가는 명명할 수 없는 것들이 품은 생명력을 통해,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전시는 우리에게 규정과 분류의 경계에서 벗어나 흐르고 변화하는 삶의 본질을 마주하게 하며, 그 안에서 지속되는 사랑과 기억의 힘을 발견하게 한다.


Kyunghye You (Openspace Bae Curator) 


Hyunjin Park's solo exhibition Neither Lion, Dog, Nor Human pushes away the pronouns of animals and humans with "Neither," stopping existing classifications and naming, and seeking states and forms that cannot be defined by conceptual and formal definitions. "Neither" operates as a way of opening other possibilities for transition into something else by letting existence flow rather than defining it. Given that the world is inherently complex and flowing while forces simultaneously operate to define it, if the world and states we face remain only at these two extremes, the artist does not plant her feet anywhere. Rather than grasping what is given, she lets it flow, moving toward undefinable forms.

Park presents fluid figures revealed in moments where life and death, tradition and generation, and caring time intersect through sculpture, video, and installation. These works construct porous narratives through absence, persistence, and change, summoning enduring forces within them. The show begins with the eponymous performance video Neither Lion, Dog, Nor Human (2022). Although lions were not originally native to Korea, this animal has been inherited through human imagination and gestures in Bongsan mask dance for 600 years. The video features a figure with a mirror face, and the gestures of two women moving it unfold to the rhythm of drums. The dance of women who have inherited mask dance then overlaps with the aging gestures of her companion dog PoPo, interweaving movements continued through absence with caring gestures. Here, Lion, Woman, Tradition form a collective figure. They rearrange gestures and memories from different layers, continuing into the present.

In the video Humming (2024), a woman standing on a small hill made of piled sand takes off her shoes and steps on the earth. She says in the video: "I am ready to sing, even though it might be humming rather than words." What cannot be expressed in words becomes familiar humming, continuing from words to song, from song to humming, trying to release what language cannot reach outside the body first. Park summons times of longing and forgetting through experiences that cannot be reduced to language, sharing experience in ways that transcend language.

The interwoven gestures of absence and care continue in I(A)MPATIEN(T/S) (2023~), where Park molds terracotta pots and sows balsam seeds within them, nurturing 1,000 balsam flowers. The terracotta forms are shaped to resemble the bodies of dead animals, embodying the process where death returns to earth and embraces new life. Each vessel becomes a "something" that is neither lion, nor dog, nor human—a figure dedicated to nurturing seeds. While the act of caring for seeds may appear repetitive and mundane, this very accumulation of time becomes a testament to love's persistence beyond death.

And Three Bodies of Cerberus: Merry, Happy, Lucky (2024-2025) summons the figure of Cerberus, the dog guarding the gates of hell. Dog skulls dyed with balsam flowers Park grew herself are combined with bodies composed of transformed forms. It evokes the eeriness of the moment when a living being's skeleton suddenly transforms into an unfamiliar form, with those bones temporarily hardened and covered in beeswax. The names "Merry," "Happy," and "Lucky" attached here carry meaning beyond simple naming—these were among the most popular English names given to companion dogs in 1990s South Korea, chosen by families who welcomed dogs as family members and called these words daily, hoping that such joy and good fortune would accompany both their families and their dogs. Yet now, these once-hopeful names have become nostalgic and tender callings that remember and mourn departed beings.

In Hyunjin Park's solo exhibition, Neither Lion, Nor Dog, Nor Human, the "thing" that remains while traversing the positions of lion, dog, and human is ultimately undefinable. In places where life and death, tradition and generation, woman and caring time overlap, it remains only as a figure that continues and transforms. Through the vitality held by unnameable things, the artist presents possibilities of existence that crosses boundaries. This exhibition makes us face the essence of flowing and changing life beyond the boundaries of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and discover the power of love and memory that persists within it.






Curated by: Kyunghye You
Assistant Curator: Junghoon Kim
Installation: Dabagmyeon Studio
Photo. Vivisual Studio
Design: Shampoo
Organized by: Hyunjin Park
In cooperation with: Openspace Bae
Supported by: Arts Council Korea

           Back to Home